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비에르 밀레이 정부

덤프버전 :

하비에르 밀레이 정부
Gobierno de Javier Millais
2023년 12월 10일 ~ 현재
출범 이전출범 이후
알베르토 페르난데스 정부
대통령하비에르 밀레이 / 제48대
부통령빅토리아 비야루엘 / 제38대
여당
자유당
민주당

1. 개요
2. 행보
2.1. 2023년
3. 구성



1. 개요[편집]


2023년 12월 10일 출범한 아르헨티나의 정부이다. 대통령은 하비에르 밀레이, 부통령은 빅토리아 비야루엘이다.

2. 행보[편집]



2.1. 2023년[편집]


12월 10일, 하비에르 밀레이 당선인이 대통령에 취임하여 정부가 구성되었다.

정부 부처가 전임 알베르토 페르난데스 정부 시절 18개에서 9개 부처로 대폭 축소되었으며[1] 진보적 의제 실현을 위해 설립되었던 사회개발부(Ministerio de Desarrollo Social), 여성젠더다양성부 등 9개 부처가 폐지되었다. # 예컨대 인적자원부는 대한민국의 교육인적자원부, 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문화관광부에서 문화부문, 국토교통부의 주거부문을 몽땅 합친 조직이다. # 이에 대해 공공기관 내 反성폭력 기조와 親페미니즘 기조가 축소될 수 있다는 반발이 제기되었다.

그 외에 과학기술혁신부(Ministerio de Ciencia, Tecnología e Innovación)는 내각장관 하로 이관된다. 관광체육부(Ministerio de Turismo y Deportes)는 내무부로 이관된다. 교통부(Ministerio de Transporte)와 공공건설부(Ministerio de Obras Públicas), 지역개발주거부(Ministerio de Desarrollo Territorial y Hábitat)중 지역개발 부문은 인프라부로 통폐합된다. #

중도우파 세력과의 통합을 이유로 변화를 위해 함께공화주의제안당급진시민연합의 정치인들이 신정부 장관으로 기용되었다. 대선에서 경쟁자였던 파트리시아 불리치가 치안장관으로 재임명 된것이 대표적이다. 여성 장관은 세 명이다. #

12일, 경제 비상 조처 패키지를 발표했으며 10개 조치 중 대표적으로 페소화를 달러당 400페소에서 800페소로 평가절하했다.#

14일. 도로 봉쇄를 포함한 거리 시위와 집회를 엄격히 제한하는 치안 정책을 발표했다.# 야권은 이에 반발해 5만명 이상 규모의 집회를 하겠다고 예고했다.

3. 구성[편집]


직책성명소속임기 시작임기 종료
대통령 및 부통령
대통령하비에르 밀레이
자유당
2023년 12월 10일현재
부통령빅토리아 비야루엘
민주당
2023년 12월 10일현재
정부 장관
내각장관니콜라스 포세
자유당
2023년 12월 10일현재
외교, 국제무역 및 예배부[2] 장관디아나 몬디노
무소속

2023년 12월 10일현재
국방부 장관루이스 페트리
급진시민연합
2023년 12월 10일현재
경제부 장관루이스 카푸토
공화주의제안당
2023년 12월 10일현재
법무 및 인권부 장관마리아노 리바로나
무소속

2023년 12월 10일현재
치안부 장관파트리시아 불리치
공화주의제안당
2023년 12월 10일현재
보건부 장관마리오 루소
공화주의제안당
2021년 2월 20일현재
내무부 장관기예르모 프랑코스
무소속

2023년 12월 10일현재
인적자본부 장관산드라 페토벨로
자유당
2023년 12월 10일현재
인프라부 장관기예르모 페라로
무소속

2023년 12월 10일현재
장관급 비서실
구성 예정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9:36:56에 나무위키 하비에르 밀레이 정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여담으로 크리스티나 키르치네르 정부의 부처 개수는 17개 부처, 마크리 정부 시절에는 21개 부처가 설립.운영되었다.[2] 예배를 드리는 정부부처라는 의미는 아니고 가톨릭업무를 담당하는 조직이었던 'Secretaría de Culto'를 통폐합하며 출범한 기관이기에 붙는 표현.